아이웍스 신입사원 채용 "패기와 열정이 넘쳐나는 주식회사 아이웍스를 소개합니다!" ☞ http://www.iworks.kr/Sub/0101.asp 주식회사 아이웍스에서는 패기와 열정이 넘치는 새로운 아이워커를 모시고자 합니다. 아래 모집내용을 참조하셔서 많은 관심과 지원을 기대하겠습니다. 채용과 관련된 궁금한 사항은 언제든지 채용담당자(정연진 과장, jyj@iworks.kr)로 문의바랍니다. - 아 래 - 1. 지원자격 – 대졸 또는 졸업예정자 2. 모집직종 - 영업기획·관리 및 지원 사무원 3. 모집인원 - 0명 4. 세부업무 가.영업기획 - IT 컨설팅, H/W인프라 구성 및 설계 나.마케팅 지원 - 서비스 마케팅 업무지원 다.영업지원 - 영업과 관련한 일련의 문서 생성 5. 채용절차 6. 급여제도, 복리후생 등 처우정보 ☞ 웹페이지 참조 http://www.iworks.kr/Sub/0108.asp 6. 제출서류 가. 이력서 ( 다운로드 ) 나. 자기소개서 다. 경력자는 경력기술서작성(이력서 내 양식활용) 7. 채용 우대사항 가. 운전면허 소지자 나. 전산관련 자격증 소지자 다. MS-Office(엑셀, 파워포인트) 중,상급자 8.채용 후 육성계획(방향) 가. 수습 3개월 후 해당업무 배정 나. 지역 IT인프라 설계 및 지원 전문 인재로 육성 다. IT컨설턴트(프리세일즈) 전문 인재로 육성 라. IT프로젝트 관리자(PM) 전문 인재로 육성 9. 지원서류제출 : e메일(jyj@iworks.kr) 을 통한 접수 10. 관련 문의처 [창원사무소] Tel.055-282-2541, 채용담당 정연진 과장, jyj@iworks.kr
다양한 IT환경에서 융합 현상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영상을 이용한 융합현상은 최근 CCTV 기술을 통해 그 고도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 직접 케이블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전파가 외부로 나가지 않으며, 누구나 전파를 수신하여 방송을 볼 수 있는 일반 방송과 달리 케이블이 연결된 특정인만이 영상을 볼 수 있어 폐쇄회로 텔레비전이라고 한다. CCTV는 산업, 교육, 의료 및 지역정보서비스 등 산업 분야 전반에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범죄예방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http://dok.do/hN0CsY IT융합의 대상은 바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폐쇄형 선로 TV'라는 의미로써 최근 여러가지 사회적 이슈 즉, 범죄, 교통, 기후 등 다양한 사회적 현상을 녹화하고, 여러가지 문제를 사전에 예방 또 발생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데 도움되는 역할을 하는 영상관리 기술입니다. 최근 정부는 여러가지 사회적 범죄를 예방하고 쾌적한 사회환경을 목적으로 CCTV 설치를 확대하고 있음. 이에따라 각 지자체에서는 늘어나는 CCTV 환경을 지능적으로 관제하기 위해 '통합지능형 관제시스템' 구축에 관심을 높이고 있습니다. 통합지능형 관제시스템의 요소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 통합지능형 관제시스템 구축요소(솔루션) 1.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 2. 서버 및 대용량 스토리지 3. IP화에 따른 Wall 컨트롤러 기술 4. 통합 상황판의 기술 이미 저장된 영상이나 실시간 촬영되어 들어오는 다수의 카메라에서 여러가지 행동, 변화 등을 인지하여 지능적으로 분석하는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과 급격히 늘어나는 데이터를 신속히 분석하고 저장할 서버와 대용량 스토리지가 필요하겠습니다. 또, 영
1. 개요 Linux bootLoader 는 msdos 디스크 라벨만을 인식하여 2TB 가 넘는 GPT 라벨은 인식되지 않는다. 때문에 GNU Parted 라는 파티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구성해주어야 한다.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2. Parted # fdisk –l Storage 에서 Host 로 Volume 할당 전 , 기존 구성 디스크만 보인다 . # fdisk –l Storage 에서 Host 로 Volume 할당 후 / dev / sdb 형태로 디스크가 인식된 것을 볼 수 있다 . # parted / dev / sdb 확인 했으면 parted 명령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 # print Print 명령어를 통해 현재 / dev / sdb 의 상태를 확인한다 . # mklabel gpt Print 명령으로 본 결과 디스크 라벨이 없으므로 gpt 라벨을 준다 . # print 다시 확인해 보면 Partition Table 이 gpt 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정보들이 나온다 . # mkpart Mkpart 명령어를 통해 파티션을 잡아준다 . Start? 는 디스크 시작 부분 , END? 는 어디까지 ( 용 량 ) 구성할지 이다 . -1 은 전부를 뜻한다 . # print 다시 확인을 해보면 사이즈나 이름과 같은 부분들이 나타난다 . # cat / proc /partitions Q 명령어로 parted 를 빠져 나와서 파티션 파일을 확인하자 . 추가된 sdb 와 sdb1 이 보인다 . 여기서 sdb1 이 나눠진 파티션이다 . # mkfs.e
댓글
댓글 쓰기